1. INTRODUCTION
-consensus mechanisms
-voluntary respect of the social contract
-use the Internet to make a decentralized value-transfer system
-shared across the world & free to use
[Ethereum]
-aims to provide tightly integrated end-to-end system for building software
: a trustful object messaging compute framework.
: 개체간 통신 컴퓨팅 프레임워크
1.1 Driving Factors
[Goals]
1. facilitate transactions between consenting individuals who would otherwise have no means to trust one another.
: 서로 신뢰할 이유가 없는 개인들의 동의를 얻어 이들 사이의 거래를 성사시키는 것
-> state-change system 구축
: agreement will be thus enforced autonomously ; 자체적인 합의의 성사
배경
-사람이 개입하는 시스템에서는 청렴결백한 판결/투명성 을 찾아보기 어려움
-객관적인 알고리즘 프로그램에서는 투명성을 찾아볼 수 있음
-> 사용자들이 다른 어떤 무엇과 상호작용하더라도,
상호작용의 결과와 결과의 근거에 대해 절대적 확신과 보장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
1.2 Previous Work
Buterin [2013a]
-블록체인 기술의 커널 기술을 처음으로 제안
-핵심적인 기술은 지금까지 변하지 않음
: Turing-complete language
: an effectively unlimited inter-transaction storage capability
Dwork and Naor [1992]
-Proof Of Work (작업증명) 처음 사용
: transmitting a value signal over the Internet
-currency의 용도가 아닌 아닌 스팸 차단 메커니즘으로 활용
Vish-numurthy 외 [2003]
-P2P 파일 거래를 견제하기 위해 작업증명 기술 사용
-서비스에서 소액 결제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소비자에게 제공
-작업 증명은 전자서명+거래내역 적은 원장으로 augmented
<- ensure that the historical record couldn’t be corrupted
<- malicious actors could not spoof payment or unjustly complain about service delivery
Nakamoto [2008]
- introduced another proof-of-work-secured value token
: wider in scope.
Szabo [1997] | Miller [1997]
-Smart Contract 초기 연구
: 시행을 위한 구체적인 system은 제시 x
: "future of law would be heavily affected by such systems(=Smart Contract)" 라고 명시
: Ethereum → general implementation ; crypto-law system
2. THE BLOCKCHAIN PARADIGM
-Ethereum=트랜잭션 기반 상태머신
: begin with a genesis state and incrementally execute transactions----> current state
-current state=이더리움 세계의 표준 버전
-state에 들어가는 정보들
:계좌 잔액(account balances), 평판(reputations), 신탁계약(trust arrangements), 관련 데이터 포함
:무엇이든 컴퓨터로 표현가능한 것은 허용됨
2.1 Value
2.2 Which History?
-분산 시스템=> 모든 사용자는 새 블록 생성 가능
-블록체인의 트리구조는 합의된 scheme여야 함
-노드 간 불일치가 발생하면-as to which root-to-leaf path down the block tree is the ‘best’ blockchain - fork 발생
-주어진 블록 시점을 지나면 시스템에 여러 상태가 공존 가능
-> 불확실한 상황으로 인해 모든 신뢰가 무너질 수 있음
: some nodes believing one block to contain the canonical transactions
: other nodes believing some other block to be canonical, potentially containing radically different or incompatible transaction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