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트코인 트랜잭션 모델
-UTXO 형태 사용
; 비트코인에서는 input이 output을 소비하는 형태로 트랜잭션 수행
-이때 소비되지 않는 output = UTXO
비트코인의 데이터를 다 보아야지만 이 아웃풋이 spent인지 unspent인지(아웃풋 소비 여부) 알 수 있음
비트코인 트랜잭션 구조
-비트코인의 트랜잭션은 input script(unlocking script)와 output script(locking script)를 가짐
-어떤 트랜잭션의 output script를 다른 트랜잭션의 inpout script가 reference함으로써 partial order가 형성됨
; TX A의 output을 TX B가 in으로 소비
-input과 output은 serialize(코드가 합쳐짐)되어 stack machine으로 실행됨
가상머신이란?
1. 어떤 운영체제 위에 가상머신을 띄워 새로운 운영체제를 돌리는 프로그램
; 운영체제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사용
ex. Virtual Box, VMware
2. 어떤 프로그램을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머신의 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실행하기 위해
스크립트 언어란?
-이미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상태나 동작을 변경하기 위한 언어
ex. JS
input script가 output script를 reference함 <- 직렬화
; inpout script가 output script의 앞으로 오면서 직렬화 됨
<데이터> | 꺽쇠 부분 이외=미리 정의된 키워드로 이루어진 명령어
output script가 input script에 의해 수행이 됐다
= input script가 output script를 소비했다
참고
'PBL Ⅲ > BlockCha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조사] 블록체인 성능평가 방법 (0) | 2022.09.25 |
---|---|
Hotel Reservation Smart Contract with SOLIDITY (0) | 2022.06.09 |
[블록체인의 원리] 4. 비트코인의 원리 (2) (0) | 2022.06.04 |
Create a Simple Ethereum SmartContract (2) (0) | 2022.06.01 |
[블록체인의 원리] 3. 비트코인의 원리 (1) (0) | 2022.05.24 |